본문으로 건너뛰기

ROG Xbox Ally 출시 직전, Game Pass 가격 폭등의 타이밍 - 우연일까 전략일까?

목차

😅 10월의 두 가지 빅뉴스
#

10월이 시작되자마자 게임 업계에 두 가지 큰 뉴스가 터졌어요. 하나는 기대되는 소식이었고, 하나는… 충격적인 소식이었죠.

10월 1일: Xbox Game Pass 가격 인상 발표 (얼티밋 52%↑)
10월 16일: ROG Xbox Ally 정식 출시 예정

이 두 뉴스의 타이밍이 참 묘하더라고요. 출시 2주 전에 터진 가격 폭탄. 과연 우연일까요, 아니면 계산된 전략일까요?

ROG Xbox Ally와 ROG Xbox Ally X 공식 이미지
10월 16일 출시를 앞둔 ASUS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야심작. 그런데 2주 전에 터진 뉴스가…

🎮 ROG Xbox Ally가 뭔데?
#

본격적으로 이야기하기 전에, ROG Xbox Ally가 뭔지부터 알아볼까요?

ASUS와 마이크로소프트의 협업
#

ROG Xbox Ally는 ASUS의 게이밍 브랜드 ROG(Republic of Gamers)와 마이크로소프트 Xbox가 손잡고 만든 핸드헬드 게이밍 PC예요. 쉽게 말하면 닌텐도 스위치처럼 생긴 휴대용 게임기인데, Windows 11이 돌아가는 완전한 PC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존에 ROG Ally라는 제품이 있었는데, 이번엔 마이크로소프트가 본격적으로 협업에 참여하면서 “Xbox” 브랜딩이 붙었어요. 그냥 이름만 붙인 게 아니라 소프트웨어부터 UI까지 Xbox 경험에 맞춰 최적화했다고 하네요.

ROG Xbox Ally 두 모델 비교
왼쪽이 기본형 Ally, 오른쪽이 고성능 Ally X. 가격 차이가 꽤 나는데…

두 가지 모델
#

ROG Xbox Ally (기본형)

  • 가격: $599.99 (약 80만원대 예상)
  • 프로세서: AMD Ryzen Z2 A (4코어)
  • RAM: 16GB
  • 스토리지: 512GB SSD
  • 배터리: 60Wh

ROG Xbox Ally X (고성능)

  • 가격: $999.99 (약 135만원대 예상)
  • 프로세서: AMD Ryzen AI Z2 Extreme (8코어)
  • RAM: 24GB
  • 스토리지: 1TB SSD
  • 배터리: 80Wh (33% 더 큼!)

둘 다 7인치 120Hz 디스플레이에 1080p 해상도를 지원해요. 고성능 모델은 NPU(신경망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어서 앞으로 나올 AI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핵심 특징: Xbox 전용 경험
#

이게 기존 ROG Ally와 가장 큰 차이점이에요. 전원을 켜면 일반 Windows 데스크탑이 아니라 Xbox 전용 풀스크린 UI로 바로 부팅됩니다.

  • 전용 Xbox 버튼으로 Game Bar 즉시 접근
  • Xbox, Steam, Epic 등 여러 스토어 게임을 한곳에서 관리
  • Xbox 무선 컨트롤러에서 영감받은 인체공학적 그립
  • Xbox 콘솔의 Remote Play 지원
  • 클라우드 게이밍 완벽 지원

Windows 자유도는 유지하면서도 Xbox 콘솔 같은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게 핵심 컨셉이죠.

Xbox 전용 풀스크린 UI 화면
전원 켜자마자 이런 화면이 뜨는데, 사실 아래는 Windows 11이 돌아가고 있어요!

📊 Xbox Game Pass 생태계 이해하기
#

ROG Xbox Ally 이야기를 계속하기 전에, Xbox Game Pass가 뭔지부터 이해해야 해요. 이게 없으면 ROG Xbox Ally의 진가를 절반도 못 느낄 테니까요.

Game Pass가 뭔가요?
#

Xbox Game Pass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게임 구독 서비스예요. 넷플릭스가 영화/드라마를 월정액으로 보는 것처럼, Game Pass는 게임을 월정액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서비스죠.

한 달에 구독료만 내면 수백 개의 게임을 마음껏 다운로드해서 플레이할 수 있어요.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퍼스트파티 게임들(헤일로, 포르자, 기어즈 오브 워 등)은 출시 당일부터 Game Pass에 포함됩니다!

2025년 10월 개편된 티어 구조
#

10월 1일부터 Game Pass의 티어 구조가 완전히 바뀌었어요:

Xbox Game Pass Essential (구 Core)

  • 가격: 월 10,800원 (기존 7,900원에서 36%↑)
  • 50종 이상의 게임
  •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 신작은 포함 안 됨

Xbox Game Pass Premium (구 Standard)

  • 가격: 월 14,900원 (기존 11,900원에서 25%↑)
  • 200종 이상의 게임
  • 클라우드 게이밍 지원
  • Xbox 신작은 출시 후 12개월 이내 추가

Xbox Game Pass Ultimate

  • 가격: 월 29,000원 (기존 19,000원에서 52%↑)
  • 500종 이상의 게임
  • 모든 신작 출시 당일부터 플레이 가능
  • EA Play, Ubisoft+ Classics, Fortnite Crew 포함
  • 최상급 클라우드 게이밍 (대기시간 최소)
  • Rewards 포인트 4배
Game Pass 가격 인상 전후 비교표
특히 얼티밋은 거의 두 배 가까이… 이용자들 반응이 폭발한 이유를 알겠더라고요 😅

ROG Xbox Ally는 어느 티어가 필요할까?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나옵니다. ROG Xbox Ally의 핵심 기능들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Game Pass Ultimate가 사실상 필수예요.

왜냐하면:

  • 클라우드 게이밍을 최상급 품질로 이용하려면 → Ultimate
  • Xbox 신작을 출시 당일부터 플레이하려면 → Ultimate
  • Ubisoft+, EA Play 같은 추가 구독 혜택 → Ultimate

프리미엄으로도 클라우드 게이밍은 되지만, Ultimate보다 대기시간이 길고 우선순위가 낮아요. 휴대용 기기에서 게임하는데 대기시간이 길면… 그건 좀 아니잖아요? 😅

🔥 10월 1일, 폭탄 선언
#

그런데 10월 1일, 마이크로소프트가 폭탄을 터뜨렸어요.

가격 인상 발표
#

Game Pass Ultimate 가격을 월 $19.99에서 $29.99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은 19,000원에서 29,000원으로 52% 인상이었죠.

발표와 동시에 즉시 적용되었어요. 기존 구독자들도 2개월 유예 기간만 주고 새 가격이 적용됐습니다.

이용자 반발
#

반응은… 폭발적이었습니다.

구독 취소가 너무 많이 몰려서 마이크로소프트 구독 관리 페이지가 다운될 정도였어요. 일각에서는 MS가 일부러 페이지를 다운시켜 이탈을 막으려는 거 아니냐는 의심도 있었죠. (물론 추측일 뿐입니다)

Reddit, X(트위터) 등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지금 바로 취소하라(Cancel Now)“는 글들이 쏟아졌어요.

심지어 게임 소매업체 GameStop의 공식 계정까지 “월 $29.99. 아무것도 소유하지 못함(Own Nothing)“이라고 풍자적으로 비꼬는 트윗을 올렸습니다. 경쟁사인데도 이렇게 나올 정도면… 분위기가 어땠는지 아시겠죠? 😅

추가된 혜택은 있지만…
#

공정하게 말하자면, 가격만 올린 건 아니에요. 얼티밋에는 이런 혜택들이 추가되었습니다:

  • Ubisoft+ Classics 무료 포함 (단독으로 구독하면 월 $17.99)
  • Fortnite Crew 무료 포함 (단독 구독 월 $11.99)
  • EA Play는 원래부터 포함
  • 클라우드 게이밍 화질 1440p로 향상
  • Rewards 포인트 적립률 증가

하지만 이용자들의 반응은 “그래도 비싸다"였어요. 특히 Fortnite를 안 하는 사람들은 “필요 없는 혜택으로 가격만 올렸다"며 반발했죠.

⏰ 타이밍이 너무 공교로운데요?
#

자, 이제 핵심으로 들어가볼까요.

10월 1일: Game Pass 가격 52% 인상
10월 16일: ROG Xbox Ally 정식 출시

딱 2주 차이입니다. 이게 우연일까요?

의심 포인트 1: 사전 예약 타이밍
#

ROG Xbox Ally 사전 예약은 9월 25일에 시작되었어요. 그러니까:

  • 9월 25일: 사전 예약 시작 (구 Game Pass 가격 19,000원)
  • 10월 1일: Game Pass 가격 인상 발표 (29,000원)
  • 10월 16일: 제품 출시

사전 예약 받고 나서 바로 가격 올린 거예요. 사전 예약할 때는 구독료가 월 19,000원인 줄 알고 구매했는데, 실제 제품 받을 때쯤엔 29,000원이 된 거죠.

의심 포인트 2: 클라우드 게이밍 의존도
#

ROG Xbox Ally의 마케팅을 보면 클라우드 게이밍을 엄청 강조해요:

  •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 “다운로드 없이 바로 플레이”
  • “Xbox 콘솔의 게임을 원격으로”

그런데 이 모든 기능을 제대로 쓰려면 Game Pass Ultimate가 필수예요. 그것도 이제 월 29,000원짜리…

ROG Xbox Ally 클라우드 게이밍 마케팅
언제 어디서나 플레이! 다운로드 필요 없이! 근데 이거 하려면… 월 29,000원 😅

의심 포인트 3: 조용했던 가격 공개
#

ROG Xbox Ally의 미국 가격은 9월 25일 사전 예약 때 발표되었어요. 근데 한국 가격은? 아직도 미발표 상태입니다.

출시 2주도 안 남았는데 가격을 안 알려주는 건 좀 이상하죠? 혹시 Game Pass 가격 인상 후폭풍이 가라앉기를 기다리는 걸까요?

💰 진짜 비용 계산해보기
#

이론적인 이야기는 그만하고, 실제로 얼마나 드는지 계산해볼게요.

기기 구매 비용
#

ROG Xbox Ally (기본형)

  • 미국 가격: $599.99
  • 예상 한국 가격: 약 80~85만원

ROG Xbox Ally X (고성능)

  • 미국 가격: $999.99
  • 예상 한국 가격: 약 135~145만원

참고로 Xbox 브랜딩 없는 기존 ROG Ally X (2024년 모델)가 현재 다나와 기준 약 139만원에 판매되고 있어요. 비슷한 가격대가 될 것 같네요.

구독 비용 (Game Pass Ultimate)
#

클라우드 게이밍과 신작을 제대로 즐기려면 Ultimate가 필요하다고 했죠?

  • 월 29,000원
  • 연간: 348,000원
  • 2년: 696,000원

총소유비용 (TCO)
#

이제 합쳐볼까요?

ROG Xbox Ally 기본형 + Ultimate 2년

  • 기기: 850,000원
  • 구독 (2년): 696,000원
  • 합계: 1,546,000원

ROG Xbox Ally X 고성능 + Ultimate 2년

  • 기기: 1,400,000원
  • 구독 (2년): 696,000원
  • 합계: 2,096,000원

210만원이면… 중급 게이밍 노트북을 살 수 있는 금액이에요. 심지어 그건 Game Pass 구독 없이도 게임을 할 수 있죠.

ROG Xbox Ally 총소유비용 분석
기기값만 보면 합리적인 것 같은데, 구독료까지 더하면… 🤔

대안 시나리오
#

물론 꼭 Ultimate를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 다른 방법도 있죠:

시나리오 1: Premium 사용

  • 월 14,900원 (연 178,800원)
  • 신작은 12개월 후에나 가능
  • 클라우드 게이밍 대기시간 증가

시나리오 2: Essential 사용

  • 월 10,800원 (연 129,600원)
  • 신작 포함 안 됨
  • 클라우드 게이밍 지원

시나리오 3: Game Pass 없이 Steam 등 이용

  • 구독료 0원
  • 하지만 Xbox 전용 UI의 장점이 반감됨
  • 클라우드 게이밍 불가능

근데 ROG Xbox Ally를 사면서 Game Pass를 안 쓴다는 건… 포르쉐를 사서 동네 마트만 가는 느낌? 😅

🎯 마이크로소프트의 전략 분석
#

자, 이제 큰 그림을 볼 시간이에요. 마이크로소프트는 대체 뭘 노리는 걸까요?

하드웨어는 미끼
#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콘솔 판매에서 돈을 거의 못 벌어요. 콘솔 사업은 원래 그래요. 하드웨어는 거의 원가나 심지어 손해를 보면서 팔고, 게임과 구독으로 수익을 냅니다.

ROG Xbox Ally도 마찬가지예요. ASUS가 제조하긴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입장에서는:

  1. 더 많은 사람들이 Xbox 생태계로 들어오게 만들고
  2. Game Pass 구독자를 늘리는 게 목표

기기 판매 수익보다 구독 수익이 훨씬 중요한 거죠.

구독 경제의 함정
#

생각해보세요. 월 29,000원이면:

  • 1년에 348,000원
  • 5년이면 1,740,000원
  • 10년이면 3,480,000원

10년 구독하면 기기값의 3배 이상을 내는 셈이에요. 그것도 취소하면 게임은 하나도 남지 않아요.

이게 구독 경제의 특징입니다. 한 달 한 달은 부담 없어 보이는데, 쌓이고 쌓이면…

액티비전 인수의 후유증?
#

2023년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750억 달러에 인수했죠. 콜 오브 듀티, 오버워치, 디아블로 같은 대작들을 확보했어요.

인수 당시 규제 당국이 물었습니다: “혹시 인수 후에 Game Pass 가격 올릴 거 아니에요?”

MS는 대답했어요: “아뇨, 가격 올리면 구독자 줄어드는데 왜 올려요? 게다가 액티비전 게임들 추가하는 혜택이 있는데, 그걸 상쇄할 만큼 올리진 않을 거예요.”

근데… 2025년 10월 1일, 52% 올렸네요? 😅

법적으로 문제는 없어요. “혜택을 상쇄할 만큼"은 안 올렸다고 주장할 수 있으니까요. (Ubisoft+, Fortnite Crew 추가했잖아요!) 하지만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배신감을 느낄 만하죠.

마이크로소프트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2023년의 역사적 인수. 그리고 2025년의 가격 인상… 관련이 있을까요?

OEM 전략의 시작
#

ROG Xbox Ally는 사실 시작에 불과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 다른 하드웨어 제조사들과도 협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즉, Xbox 브랜드를 달고 나올 핸드헬드 기기들이 더 나온다는 거예요. Lenovo, MSI, Razer… 여러 회사에서 만들 수 있죠.

그럼 마이크로소프트는 뭘 하냐고요? Game Pass 구독을 받으면 되는 겁니다. 하드웨어 제조는 파트너사들이 하고, MS는 소프트웨어와 구독으로 돈을 버는 거죠.

이게 바로 “플랫폼 사업자"의 전략이에요.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비슷한 구조죠.

🤔 예비 구매자를 위한 조언
#

자, 그래서 ROG Xbox Ally를 사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이런 분들께는 추천
#

Xbox 생태계에 이미 깊숙이 들어와 있는 분

  • Game Pass Ultimate 이미 구독 중
  • Xbox 콘솔 보유
  • 디지털 게임 라이브러리가 쌓여 있음

구독 경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분

  • 넷플릭스, 멜론 등 구독에 익숙함
  • 게임 소유보다 경험이 중요
  • 월 3만원이 부담되지 않음

이동이 잦은 분

  • 출장이 많음
  • 통근 시간이 김
  • 침대에서 편하게 게임하고 싶음

이런 분들께는 비추천
#

예산이 빠듯한 분

  • 초기 비용 100만원 + 월 구독료 부담
  • 총소유비용 계산해보면 데스크탑 조립 가능

게임 소유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

  • 구독 취소하면 게임 못 함
  • 디스크나 디지털 구매가 더 편함

주로 대작 AAA 게임만 하는 분

  • 7인치 화면에서는 한계가 있음
  • 설정을 낮춰야 원활한 플레이 가능
  • 그냥 데스크탑이 나음

현명한 구매 전략
#

만약 정말 사고 싶다면:

  1. 일단 기다려보기

    • 실제 사용 리뷰가 나올 때까지
    • 한국 가격 공개될 때까지
    • Game Pass 가격 재인하 가능성(?)
  2. Game Pass Ultimate 먼저 써보기

    • 기기 사기 전에 1개월 구독해보기
    • 게임 라인업이 마음에 드는지 확인
    • 클라우드 게이밍 품질 체크
  3. 대안 고려하기

    • Steam Deck OLED ($549)
    • Lenovo Legion Go ($699)
    • ASUS ROG Ally (2024년 모델, 더 저렴)
    • 그냥 게이밍 노트북
  4. 중고 시장 모니터링

    • 초기 구매자들이 되팔 가능성
    • 1~2개월 후 중고가 나올 수도
Steam Deck vs ROG Xbox Ally 비교
Steam Deck도 좋은 선택지. Game Pass 구독 필요 없이 Steam 게임을 할 수 있죠!

🚀 결론: 하드웨어는 좋은데 구독이 문제
#

ROG Xbox Ally 자체는 정말 좋은 제품이에요. ASUS의 하드웨어 제조 능력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만났으니까요.

문제는 타이밍과 구독료죠.

출시 2주 전에 터진 52% 가격 인상. 이게 우연이든 전략이든, 소비자 입장에서는 씁쓸합니다.

기기값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진짜 비용은 그 두 배 이상이에요. 2년 쓴다고 치면 150~200만원이 드는 거죠.

구독 경제의 양날의 검이 여기 있습니다. 한 달 한 달은 부담 없어 보이는데, 쌓이고 쌓이면 결국 더 많은 돈을 내게 되는…

제 생각엔 마이크로소프트가 출시 타이밍을 좀 더 신중하게 잡았어야 했어요. 최소한 ROG Xbox Ally 출시하고 한 달 뒤에 가격 인상했다면 이렇게까지 반발이 심하진 않았을 것 같아요.

혹은 ROG Xbox Ally 구매자들에게 6개월 Game Pass Ultimate 무료 같은 프로모션이라도 줬으면… 😅

💬 여러분 생각은?
#

ROG Xbox Ally 구매 예정이신가요? 아니면 Game Pass 가격 인상 때문에 고민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혹시 비슷한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의견이 있다면 더욱 환영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구매하신 분들은 사용 후기도 꼭 공유해주세요. 제가 놓친 장점이나 단점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함께 성장해나가요! 🎮✨

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