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WSL 갔다가 PowerShell로 복귀한 이유 - 결국 PowerShell에서도 됐다

목차

😅 지난 이야기
#

저번에 Serena MCP Windows 설치 실패 해결 - WSL Ubuntu로 한 방에 성공 (feat. Claude Code 먹통까지)를 올렸었어요.

결론은 “WSL Ubuntu로 가면 된다!“였죠.

PowerShell에서 안 되던 게 WSL에서는 한 방에 성공했고, 저는 뿌듯하게 WSL 환경에서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 치명적인 문제 발견
#

WSL에서 Claude Code를 며칠 쓰다가 문제를 발견했어요.

이미지 붙여넣기가 안 됐어요.

Claude Code에 스크린샷이나 다이어그램을 붙여넣으려고 Ctrl+V를 눌렀는데… 아무 반응이 없더라고요 😰

💭 왜 안 될까?
#

WSL Ubuntu 터미널은 기본적으로 Windows 클립보드 접근이 제한적이에요.

텍스트는 복사/붙여넣기가 되는데, 이미지는 안 되더라고요. Windows GUI와 완전히 분리된 환경이라서 그런 것 같아요.

찾아보니 해결 방법이 있긴 한데:

  • X Server 설치하고
  • DISPLAY 환경변수 설정하고
  • 이것저것 설정하고…

“아… 이거 또 삽질 시작이네?”

🤔 실용성 vs 완벽함
#

이 순간 선택의 기로에 섰어요.

선택지 1: WSL 환경을 완벽하게 만들기

  • X Server 설정
  • 클립보드 공유 설정
  • 추가 삽질 예상 시간: 2-3시간

선택지 2: 그냥 PowerShell 쓰기

  • 이미지 붙여넣기 당연히 됨
  • Windows 환경이라 모든 게 자연스러움
  • 단, Serena MCP 설치가 안 됐었음

고민 끝에…

“그냥 PowerShell에서 다시 해보자!”

🔄 PowerShell로 복귀
#

다시 PowerShell을 열었어요.

이번엔 차분하게, 하나씩 시도해봤습니다.

시도 1: uv 완전 재설치
#

혹시 몰라서 uv를 완전히 지우고 다시 깔았어요.

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열고 실행 정책을 변경했어요.

# 관리자 권한 PowerShell에서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Scope CurrentUser

그리고 uv를 재설치했습니다.

# uv 설치 (공식 방법)
powershell -ExecutionPolicy ByPass -c "irm https://astral.sh/uv/install.ps1 | iex"

시도 2: PowerShell 재시작
#

환경변수가 제대로 로드되도록 PowerShell을 완전히 껐다가 다시 켰어요.

시도 3: 명령어 재시도
#

그리고… 저번에 안 되던 그 명령어를 다시 입력했습니다.

claude mcp add serena -- uvx --from git+https://github.com/oraios/serena serena start-mcp-server --context ide-assistant --project $(pwd)

그런데 됐어요. 🎉

🤷‍♂️ 어떻게 된 거지?
#

솔직히 말하면… 저도 정확히 뭐가 문제였는지 모르겠어요 ㅋㅋㅋ

아마도:

  • uv가 제대로 설치 안 돼있었거나
  • 환경변수 경로가 꼬여있었거나
  • PowerShell 세션이 뭔가 이상했거나
  • 아니면… 그냥 컴퓨터가 기분이 좋아졌거나? 😅

중요한 건 결국 됐다는 거죠!

✅ 현재 상태
#

지금은 PowerShell에서:

  • ✅ Serena MCP 정상 작동
  • ✅ 이미지 붙여넣기 문제없음
  • ✅ 모든 Windows 기능 사용 가능
  • ✅ WSL 없이도 완벽하게 동작

WSL로 갔다가 돌아온 여정이 헛되지 않았어요. 적어도 “WSL이 유일한 해답은 아니다"라는 걸 알게 됐으니까요.

💡 이번에 배운 것들
#

1. 완벽한 환경보다 실용적인 환경
#

기술적으로는 WSL이 더 “올바른” 선택일 수 있어요. Linux 환경, 서버와 동일한 명령어, 이런 거 다 좋죠.

하지만 실제로 쓸 수 없으면 무슨 소용인가요?

이미지 하나 붙여넣으려고 X Server 설치하는 게 합리적일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2. 문제는 시간이 해결해주기도 한다
#

첫 시도에서 안 된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환경이 바뀌거나, 업데이트가 되거나, 뭔가 달라질 수 있어요.

제 경우는 정확히 뭐가 달라진 건지 모르겠지만 😅 어쨌든 며칠 후에 다시 시도하니까 됐어요.

3. 개발자의 현실
#

문제: uvx --from 옵션 안 됨
해결책: 뭔가 했더니 됨
방법: ???
결과: 성공 ✅

이게 진짜 개발자의 일상이에요 ㅋㅋㅋ

스택오버플로우에서 본 답변 10개 중 9개는 “이렇게 하니까 됐어요!“인데 정작 왜 되는지는 설명 안 하는 것처럼요.

🎯 결론
#

WSL이 만능은 아니다

WSL은 분명 강력한 도구예요. 서버 환경과 동일하게 작업할 수 있고, Linux 도구들을 쓸 수 있죠.

하지만 Windows 환경에서만 되는 기능들도 많아요. GUI 통합, 클립보드 공유, 파일 탐색기 연동 등등.

자신의 작업 흐름에 맞는 환경을 선택하세요.

저는 이미지를 자주 붙여넣어야 했고, 그래서 PowerShell을 선택했어요. 여러분은 다를 수 있어요.

🚀 다음 계획
#

이제 PowerShell에서 Serena MCP를 잘 쓰고 있으니, 다음은:

  • Serena의 기능들을 제대로 활용해보기
  • 실제 프로젝트에서 토큰 절약 효과 측정하기
  • 더 효율적인 프롬프트 작성법 연구하기

혹시 비슷한 경험 있으신가요? PowerShell vs WSL, 어떤 걸 쓰시나요? 댓글로 경험 공유해주세요! 😊


이전 글: Serena MCP Windows 설치 실패 해결 - WSL Ubuntu로 한 방에 성공 (feat. Claude Code 먹통까지)

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