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 모바일 Hugo 블로그 완전 정복 - 마크다운 에디터부터 Tasker 키보드 자동화까지

목차

🎯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
#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Hugo 블로그를 완벽하게 작성하는 모든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마크다운 에디터 완전 비교 - Obsidian, GitJournal, Markor 실사용 후기
  • Git 클라이언트 선택 가이드 - 로컬 클론부터 온라인 전용까지
  • 최적 워크플로우 구축 - 에디터 + Git 조합별 장단점
  • Termux LazyGit 완전 설정 - Personal Access Token 사용까지
  • Tasker 키보드 자동화 -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 시 완벽한 환경 구성
  • 실전 팁과 트러블슈팅 - 4시간 삽질 경험담

예상 소요시간: 1시간 | 난이도: 초급-중급 | 필요 도구: 안드로이드 기기, 마크다운 에디터

😅 시작은 침대에서 글 쓰고 싶어서…
#

안녕하세요! CoderRed입니다 😊

평소 Hugo 블로그를 PC에서만 작성하다가… “침대에서 누워서도 블로그 글 쓸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특히 갑자기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외출 중 경험한 내용들을 바로바로 포스팅하고 싶었거든요!

그런데 막상 시도해보니… 생각보다 복잡하더라고요 😅

마크다운 에디터는 어떤 걸 써야 하지? Git 연동은 어떻게 하지?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하면 왜 키보드가 깜빡이지?

결국 4시간의 삽질 끝에 완벽한 모바일 블로그 환경을 구축했어요! 오늘은 그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공유해드릴게요.

📱 마크다운 vs 마크업, 그게 뭐가 다른데?
#

먼저 기본부터 정리하고 가죠!

마크업(Markup)이란?
#

  • 텍스트에 태그를 붙여서 구조와 서식을 표현하는 언어
  • HTML, XML, LaTeX 등
  • 복잡하지만 세밀한 제어 가능

마크다운(Markdown)이란?
#

  • 마크업을 쉽게 쓰기 위한 경량 마크업 언어
  • 2004년 존 그루버가 개발
  • 읽기 쉽고 쓰기 쉬움
  • 최종적으로 HTML로 변환됨

Hugo 블로그에서의 활용
#

1. index.md 파일을 마크다운으로 작성
2. Hugo가 자동으로 HTML로 변환  
3. 브라우저에 표시

그러니까 우리가 할 일은 마크다운 파일을 잘 편집할 수 있는 앱을 찾는 거예요!

📝 안드로이드 마크다운 에디터 완전 비교
#

1. Obsidian (최강 추천!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장점:
✅ 무료 (개인 사용)
✅ PC와 완벽 동기화
✅ 실시간 미리보기
✅ 이미지 드래그앤드롭
✅ Front Matter 완벽 지원
✅ 플러그인 시스템 강력

단점:
❌ 초기 설정 복잡
❌ 앱 용량이 큰 편
❌ Git 플러그인은 PC에서만 완벽

실제 사용 후기: 진짜 PC용 에디터를 모바일로 옮겨놓은 느낌이에요! Hugo Front Matter도 완벽하게 인식하고, 실시간 미리보기도 끝내줍니다.

2. GitJournal (통합 솔루션 ⭐⭐⭐⭐)
#

 1
 2
 3
 4
 5
 6
 7
 8
 9
10
장점:
✅ 마크다운 에디터 + Git 통합!
✅ git clone 직접 가능
✅ GUI로 커밋/푸시
✅ 무료 버전도 기본 기능 가능

단점:
❌ 에디터 기능이 Obsidian보다 부족
❌ Git 고급 기능 제한적
❌ 일부 기능 유료

실제 사용 후기: “올인원” 솔루션을 원한다면 이거죠! Git 연동이 내장되어 있어서 정말 편해요.

3. Markor (가볍고 심플 ⭐⭐⭐⭐)
#

 1
 2
 3
 4
 5
 6
 7
 8
 9
10
11
장점:  
✅ 완전 무료, 오픈소스
✅ 광고 없음
✅ 가볍고 빠름
✅ Front Matter 지원
✅ 파일 시스템 직접 접근

단점:
❌ Git 연동 없음
❌ UI가 투박함
❌ 고급 기능 부족

실제 사용 후기: 군더더기 없이 마크다운만 편집하고 싶다면 완벽해요! 특히 배터리 소모가 거의 없어서 좋더라고요.

결론: 어떤 걸 선택할까?
#

1
2
3
4
5
6
7
if (you.wantPowerfulEditor && you.havePCSync) {
    return "Obsidian";
} else if (you.wantAllInOne && you.okayWithLimitedFeatures) {
    return "GitJournal";
} else if (you.wantSimpleAndFast) {
    return "Markor";
}

🔧 Git 클라이언트 앱의 진실
#

이제 Git 연동을 해야죠. 그런데 여기서 충격적인 사실 하나!

Git 클라이언트 타입 분류
#

진짜 Git 클라이언트 (로컬 클론 가능 ✅)
#

  • GitJournal: 마크다운 + Git 통합
  • Pocket Git: GUI Git 클라이언트 (유료 5,000원, 현재 플레이스토어 삭제됨)
  • Termux + git: 터미널 환경

가짜 Git 클라이언트 (온라인 전용 ❌)
#

  • GitHub 공식 앱: 웹 인터페이스 래퍼
  • GitNex: GitHub API 클라이언트

GitHub 공식 앱의 한계
#

 1
 2
 3
 4
 5
 6
 7
 8
 9
10
가능한 것:
✅ 온라인으로 저장소 보기
✅ 파일 직접 편집 (웹에서)
✅ 이슈, PR 관리

불가능한 것:
❌ git clone (로컬 복사 안 됨!)
❌ 로컬 파일 시스템 접근
❌ Obsidian과 연동
❌ offline 작업

깨달음: GitHub 앱은 진짜 Git 클라이언트가 아니에요! 그냥 웹사이트를 앱으로 만든 거더라고요 😅

추천 Git 클라이언트들
#

GitJournal - 무료 올인원
#

1
2
3
4
5
6
7
✅ git clone 가능
✅ 마크다운 에디터 내장
✅ GUI로 Git 조작
✅ 무료 버전 기능 충분

❌ Git 고급 기능 제한
❌ 에디터가 Obsidian만큼 강력하지 않음

Termux + LazyGit - 개발자 파워유저
#

1
2
3
4
5
6
7
8
9
✅ 완전한 리눅스 환경
✅ LazyGit으로 GUI 제공
✅ 모든 Git 명령어 완벽 지원
✅ Personal Access Token으로 GitHub 연동
✅ 완전 무료

❌ 초기 설정 복잡
❌ CLI 명령어 익숙해야 함
❌ 터미널 환경 필요

LazyGit 설치 및 설정 과정:

  1. Termux 설치 후 기본 설정

    1
    2
    3
    4
    5
    6
    7
    8
    
    # 패키지 업데이트
    pkg update && pkg upgrade
    
    # 필수 패키지 설치
    pkg install git lazygit openssh
    
    # 저장소 접근 권한 설정
    termux-setup-storage
    
  2. Git 사용자 정보 설정

    1
    2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 protected]"
    
  3.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생성

    • GitHub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classic) 선택
    • Scopes: repo, workflow 체크
    • 생성된 토큰을 안전한 곳에 저장
  4. 저장소 클론

    1
    2
    3
    
    cd storage/shared/Documents
    git clone https://username:[email protected]/username/repository.git
    cd repository
    
  5. LazyGit으로 Git 관리

    1
    2
    3
    4
    5
    6
    7
    8
    9
    
    # LazyGit 실행
    lazygit
    
    # 주요 키보드 단축키:
    # s: stage/unstage
    # c: commit
    # P: push
    # p: pull
    # q: quit
    

실사용 경험: 처음 설정은 좀 복잡했지만, 한 번 설정해두니까 정말 강력하더라고요! LazyGit의 시각적 인터페이스 덕분에 브랜치 관리, 커밋 히스토리 확인도 PC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어요.

🚀 최적 워크플로우 조합
#

방법 1: GitJournal 단독 (초보자 추천)
#

역할: Git + 마크다운 편집 모두 담당
장점: 설정 간단, 올인원
단점: 기능 제한적

방법 2: Obsidian + GitJournal (최적 조합!)
#

GitJournal: Git 관리 (clone, commit, push)
Obsidian: 마크다운 편집 (강력한 에디터)

설정:
1. GitJournal에서 저장소 클론
2. Obsidian에서 같은 폴더를 Vault로 설정
3. Obsidian 편집 → GitJournal 푸시

방법 3: Termux + LazyGit + Obsidian (개발자 파워유저)
#

Termux + LazyGit: 완벽한 Git 환경 구축
Obsidian: 마크다운 편집

5단계 설정 과정:
1. Termux 설치 및 LazyGit 설정 (위 설명 참조)
2. 저장소를 /storage/shared/Documents/BlogRepo로 클론
3. Obsidian에서 BlogRepo 폴더를 Vault로 설정
4. Obsidian으로 편집 → Termux에서 LazyGit 실행
5. 직관적인 Git 관리 (커밋, 푸시, 브랜치)

장점:
✅ 완전한 Git 기능 + 시각적 인터페이스
✅ 무료로 프로급 개발 환경
✅ 브랜치, 머지 등 고급 작업 가능
✅ Obsidian의 강력한 편집 기능

단점:
❌ 초기 설정 가장 복잡
❌ 터미널 명령어 어느 정도 필요
❌ Personal Access Token 관리 필요

개발자라면 이 조합이 최고!

방법 4: GitHub 앱 + Obsidian (간단)
#

워크플로우:
1. Obsidian에서 글 작성
2. 내용 복사
3. GitHub 앱에서 파일 생성
4. 수동으로 붙여넣기

장점: 매우 쉬움
단점: 수동 작업 많음

개인적으로는 **개발자라면 방법 3 (Termux + LazyGit + Obsidian)**을, **간편함을 원한다면 방법 2 (Obsidian + GitJournal)**를 추천해요!

저는 처음엔 방법 3으로 시작했다가, 키보드 문제 때문에 Tasker 자동화까지 하게 됐어요 😅

⚡ Tasker로 키보드 자동화까지… 완전한 대작전!
#

이제 진짜 진짜 꿀팁이에요!

LazyGit 설정까지 완벽하게 끝나고 “이제 정말 완벽하다!” 했는데… 실제로 블루투스 키보드를 연결해서 타이핑하다 보니 새로운 문제가 발견됐어요!

Termux + LazyGit 쓰면서 느낀 점
#

처음엔 정말 대박이었어요! Git 명령어를 LazyGit 덕분에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브랜치 전환도 화살표 키로 쉽게…

그런데 실제로 한글 타이핑을 하려니까 한영 전환이 매끄럽지 않더라고요 😅

물론 Ctrl+Space로 전환이 되긴 하는데, PC만큼 자연스럽지 않았어요.

External Keyboard Helper 발견!
#

그래서 검색해보니 External Keyboard Helper라는 앱을 발견했어요!

이거 설치하고 나니 정말 PC 키보드와 똑같은 느낌! 한영 전환도 완벽하고, 각종 단축키도 모두 작동하고…

“드디어 완벽한 환경이다!” 하고 기뻐했는데… 🎉

그런데 키보드가 깜빡거린다고?! 😤
#

문제 발생: 타이핑 중에 화면 키보드가 자꾸 깜빡거려요!

분석해보니 이런 상황이었어요:

External Keyboard Helper 사용 시:
- 한영 전환 완벽 ✅
- 하지만 키보드 깜빡임 현상 ❌

삼성 키보드 사용 시:  
- 키보드 깜빡임 없음 ✅
- 하지만 External Keyboard Helper 한영 전환 불가 ❌

“이걸 어떻게 해결하지?” 고민하다가… 자동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해결 아이디어: 상황별 자동 전환
#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 시:
→ External Keyboard Helper + 키보드 버튼 숨김

블루투스 키보드 해제 시:
→ 삼성 키보드 + 키보드 버튼 표시

Tasker 설정 과정
#

1단계: 필수 앱 설치
#

  • Tasker: 유료 앱 (약 3,000원)
  • SecureTask: Tasker 플러그인

2단계: 권한 부여 (중요!)
#

1
2
# PC에서 ADB 연결 후 실행
adb shell pm grant com.balda.securetask android.permission.WRITE_SECURE_SETTINGS

간편한 방법: Tasker Permissions Helper 사용!

3단계: 키보드 ID 확인
#

1
2
3
4
5
6
# 현재 키보드 확인
adb shell settings get secure default_input_method

# 결과:
# 삼성 키보드: com.samsung.android.honeyboard/.service.HoneyBoardService  
# External Keyboard Helper: com.apedroid.hwkeyboardhelper/.IME

4단계: Tasker Profile 생성
#

Profile: BT Connected

  • State → Net → BT Connected
  • Name: [블루투스 키보드 이름] (또는 공백)

Enter Task: “Enable External KB Mode”

A1: Custom Setting
- Type: Global
- Name: navigation_bar_button_to_hide_keyboard
- Value: 0

A2: Custom Setting  
- Type: Secure
- Name: show_keyboard_button
- Value: 0

A3: SecureTask - Write
- Setting: secure default_input_method
- Value: com.apedroid.hwkeyboardhelper/.IME

Exit Task: “Restore Touch KB Mode”

A1: Custom Setting
- Type: Global  
- Name: navigation_bar_button_to_hide_keyboard
- Value: 1

A2: Custom Setting
- Type: Secure
- Name: show_keyboard_button  
- Value: 1

A3: SecureTask - Write
- Setting: secure default_input_method
- Value: com.samsung.android.honeyboard/.service.HoneyBoardService

삽질 과정과 깨달음들
#

첫 번째 삽질: 복잡하게 만들기
#

처음엔 이런 식으로 했어요:

A1: Wait 1 second
A2: Flash "키보드 전환 중..." 
A3: Variable Set %KeyboardMode = ON
A4: 실제 설정 변경
A5: Flash "완료!"

깨달음: 심플이 최고! 꼭 필요한 것만 하자 😅

두 번째 삽질: 키보드 버튼 로직 헷갈림
#

❌ 잘못 생각한 것:
External Keyboard Helper → 키보드 버튼 표시 필요

✅ 실제 정답:
External Keyboard Helper → 키보드 버튼 숨김 (깜빡임 방지!)

세 번째 삽질: ADB로 설정 이름 찾기
#

1
2
3
4
5
6
7
# 이렇게 해서 정확한 설정 이름들을 찾았어요
adb shell settings list secure | grep -i keyboard
adb shell settings list global | grep -i keyboard

# 발견한 핵심 설정들:
show_keyboard_button=0/1
navigation_bar_button_to_hide_keyboard=0/1

🎉 최종 완성된 워크플로우
#

이제 정말 완벽한 모바일 블로그 환경이 완성됐어요!

일상적인 사용 과정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 아이디어 떠오름
const idea = "오늘 Tasker 자동화 성공!";

// 2. Obsidian으로 초안 작성
obsidian.createNewPost(idea);

// 3. 블루투스 키보드 연결
bluetooth.connect("MagicKeyboard");
// → 자동으로 External Keyboard Helper 활성화!
// → 키보드 버튼들 자동 숨김!
// → 깜빡임 없는 쾌적한 타이핑 환경!

// 4. 글 작성 완료 후
lazygit.commitAndPush("새 포스트: Tasker 자동화");

// 5. GitHub Actions 자동 배포
// → 몇 분 후 블로그에 포스트 게시!

시스템 구성도
#

📱 안드로이드 기기
├── 📝 Obsidian (마크다운 편집)
├── 🐧 Termux + LazyGit (전문 Git 관리) 
├── 🤖 Tasker (키보드 자동화)
├── ⌨️ External Keyboard Helper (물리 키보드)
└── 📱 삼성 키보드 (터치 타이핑)

🔄 자동화 흐름:
BT 키보드 연결 → Tasker 감지 → 환경 자동 전환 → 쾌적한 타이핑!

💡 실전 팁과 주의사항
#

🎯 꿀팁들
#

  1. Obsidian 초기 설정

    • 저장 위치: Device Storage 선택 (다른 앱과 공유 가능)
    • Obsidian Sync: Skip (Git 쓸 거니까 불필요)
  2. GitJournal 최적화

    • Auto-pull 활성화
    • 커밋 메시지 템플릿 설정
  3. Termux LazyGit 최적화

    • ~/.config/lazygit/config.yml으로 LazyGit 커스터마이징
    • 터미널 폰트 크기 조절: termux-setup-storage 후 settings 조정
  4. Tasker 안정성

    • 500ms 정도 Wait 추가하면 더 안정적
    • 에러 처리용 변수 설정

⚠️ 주의사항들
#

  1. 권한 문제

    • WRITE_SECURE_SETTINGS는 매우 강력한 권한
    • 시스템 업데이트 후 권한 초기화될 수 있음
  2. 호환성 이슈

    • 기기마다 설정 이름이 다를 수 있음
    • One UI 버전별 차이 있을 수 있음
  3. 배터리 최적화

    • Tasker를 배터리 최적화 제외 목록에 추가
    • Background App Limits 예외 처리
  4. Personal Access Token 보안

    • 토큰을 안전한 곳에 저장
    • 필요한 권한만 최소한으로 부여

🔮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들
#

확장 가능성
#

  1. 시간대별 자동화

    오전 9-12시: 집중 모드 (알림 차단 + 다크 테마)
    오후 1-6시: 업무 모드 (키보드 최적화)
    저녁 7시 이후: 휴식 모드 (블루라이트 차단)
    
  2. 위치 기반 자동화

    집: 개인 블로그 저장소
    회사: 업무 문서 저장소  
    카페: 집중 모드 활성화
    
  3. AI 연동 자동화

    음성으로 아이디어 녹음 → 자동 텍스트 변환 → 마크다운 초안 생성
    

📊 비용 정리
#

무료 조합 (추천!)
#

  • Obsidian (개인용 무료)
  • GitJournal (기본 기능 무료)
  • Termux + LazyGit (완전 무료)
  • Tasker (약 3,000원, 일회 결제)

총 비용: 3,000원 🎉

간편 조합
#

  • Obsidian (개인용 무료)
  • GitJournal (프리미엄 필요시 추가 비용)
  • Tasker (3,000원)

총 비용: 3,000원 ~ 8,000원

개인적으로는 무료 조합으로도 충분히 강력해요! 특히 개발자라면 Termux + LazyGit 조합의 강력함에 놀라실 거예요.

🎬 마무리: 이제 정말 어디서든 블로깅!
#

4시간의 삽질 끝에 완벽한 모바일 블로그 환경을 구축했어요!

이제 침대에서, 카페에서, 지하철에서… 언제 어디서든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블로그 포스트를 쓸 수 있어요! 😎

특히 Tasker 자동화는 정말 게임체인저예요. 블루투스 키보드만 연결하면 자동으로 완벽한 환경이 구성되니까요!

핵심 포인트 요약
#

  • 마크다운 에디터: Obsidian이 최강이지만 GitJournal도 훌륭
  • Git 연동: 진짜 Git 클라이언트를 구별해서 선택하기
  • 개발자 환경: Termux + LazyGit이 PC 수준의 Git 관리 제공
  • 자동화: Tasker로 키보드 환경 자동 전환하기
  • 심플함: 복잡하게 만들지 말고 꼭 필요한 기능만

혹시 모바일 블로깅 환경 구축하시다가 막히는 부분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함께 더 나은 워크플로우를 만들어봐요 🚀

다음 포스트 예고: 이제 이 환경에서 실제로 쓴 첫 모바일 포스팅 후기! 과연 PC와 비교해서 어떨까요? 😊


P.S. 이 포스트도 실제로 모바일 환경에서 작성했어요! Obsidian + 블루투스 키보드 조합 정말 쾌적하네요! 👍


💬 댓글